폐렴구균 예방접종(무료접종) 대상 나이
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쉽게 말하면 폐렴을 예방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백신입니다. 특히 요즘처럼 독감이나 코로나가 유행하는 시기에는 더욱 더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커지는데요. 연세가 많은 어르신들의 경우 백내장, 알츠하이머(치매) 다음으로 입원 질환 3위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인 질환 중 하나가 폐렴이기 때문에, 반드시 폐렴구균 백신을 맞는것이 중요합니다. 폐렴구균 백신은 13가와 23가로 나누어 지는데, 얼핏 보기에는 23가가 숫자가 더 크니 더 좋아보이지만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있어서는 13가가 더 좋습니다. 때문에 13가 백신은 약 15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고, 국가에서 해 주는 폐렴구균 무료백신은 23가입니다. 13가와 23가의 차이는 지속성으로, 성인에게 적용 하였을 때 23가는 약 80%정도만 항체가 생기고, 지속기간도 5~10년 정도입니다. 2022년 현재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폐렴구균 23가 무료접종이 가능하며, 정확한 출생일 기준은 195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
![폐렴구균 예방접종(무료접종) 대상 나이, 횟수, 코로나 백신과 간격 주의점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Ebzt/btrrW15Ggfn/KQIEB8YtQsuKJG0JEcciek/img.png)
폐렴구균 예방접종(무료접종) 횟수, 코로나 백신과 간격 주의점
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분들이 많아 예방접종 간격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. 코로나19 백신(모더나, 화이자, 아스트라제네카, 얀센 등)을 맞을 경우 순서에 관계없이 한 백신을 맞은 후 14일 이상 간격을 두고 다른 백신을 맞는 것을 권장합니다. 코로나백신을 먼저 맞았다면 14일 이후에 폐렴구균 백신을, 반대로 폐렴구균 백신을 먼저 맞았다면 14일 이후에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되는 것 입니다. 또한 폐렴구균 예방접종 횟수도 확인 하셔야 하는데요. 13가 백신을 먼저 접종 하였다면 6~12개월이 지난 이후 폐렴구균 23가 무료백신 접종을 하시면 되고, 23가 백신을 먼저 접종 하였다면 1년이상 지난 다음 13가 백신을 추가로 접종하고, 5~10년 주기로 23가 백신을 추가접종 하사ㅣ면 됩니다. 노인의 경우 폐렴 사망률이 상당히 높고, 기저질환과 결합하여 증상을 더욱 중증으로 만드는 요인인 만큼 반드시 무료접종을 하시기 바랍니다.